카테고리 없음

장례식장에서 내는 돈은 부조금일까 조의금일까? 부조금액은 얼마나해야하나?

불교식장례 전문 상조회사 2022. 11. 1. 18:57

 

장례식장에서 많이 듣는 부조는 뭘까요?

불국토상조 불교장례의식

안녕하세요. 불교식 장례의 표본을 추구하고 있는 불국토상조입니다.

오늘은 장례식장에서 많이 듣는 부조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부조는 잔치나 상가에 돈이나 물건을 보내 도와주는 것을 뜻하는 말입니다.

서로를 돕는다는 상부상조와 같은 한자를 사용하며

부의와 조의를 생각하고 장례식에서 내는 돈이라고 생각하는 분들도 많지만

축의금과 조의금 둘 다 뜻하는 말입니다.

 

부조와 조의가 어떻게 다를까요?

부조는 도울 부(扶)와 도울 조(助)를 사용해서 서로 돕는다는 뜻을 가지며

조의는 조상할 조(弔) 생각할 의(意)를 사용하여 위로하고 생각한다는 뜻입니다.

부조를 부주로 표현하는 경우가 많지만

이는 잘못된 표현 방법으로 현행 표준어 규정에 따르면

부조가 정확한 표현입니다.

 

부조금은 어떻게 정할까요?

부조금은 홀수로 내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특별하게 정해져 있는 금액이 있진 않지만

10만원의 미만일 경우 홀수로 내는 것이 중요합니다.

하지만, 아홉수와 같이 부정적인 의미를 가진 9는

1을 더하여 10만원으로 부조합니다.

10만원 이상은 5만원 단위로 금액을 올립니다.

 

그리고 부조금의 금액은 정해져 있지 않아

친밀도에 따라 금액이 조금씩 바뀝니다.

가장 평균적으로 많이 부조하는 금액은 5만원이지만

사정이나 형편에 따라서 3만원, 많게는 10만원 그 이상을 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불국토상조는

영가의 극락왕생을 인도하기 위해 부처님 모시듯 한 분 한 분을 모시고 있습니다.

장엄번 제단, 스님의 시다림, 구품 연화대렴,

불경수의, 생화꽃관장식, 지장보살 크리스탈 위패 등 다양하게

불교식 장례의 표본을 추구하고 있었습니다.

선불식, 후불식 둘 다 사용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상조이며

나이에 상관없이 가입이 가능하고

전화 한 통으로 임종에서 장지까지 책임지고 있습니다.

전국 어디든 서비스가 가능하며 매월 합리적인 가격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물가 상승 시에도 가격 상승이 없으며

묘지나 납골당 협약 장례식장에도 저렴하게 이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