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비스님의 49재 법문집 '일곱번의 작별인사'를 보며,
천도재와 49재의 의미와 마음가짐을 알게 되었습니다.
고인을 위한 영가천도의식이라고 할 수 있지만,
이는 내 조상과 돌아가신 부모님을 추억하며
내가 할 수 있는 그동안 내게 아낌없이 주셨던
가족을 위한 최선의 예우가 아닐까 싶습니다.
이 모든 재와 의식에는 진실된 마음과
간절한 염원이 기본이 되어야 할 것입니다.
그동안 남의 49재 법문은 여러번 했었다.
하지만 내 부모님이 가심에는
아무런 표현도 하지 못하였다.
아무리 인생이란
한조각 구름이 오고가는 것과
같다고 하지만
누구를 보내든 남은 사람들의
마음은 그렇지가 못하여
일이 있을 때마다
마음이 아려오는 것은
인지상정이리라.
무비스님 49재 법문집 머리말 중


재(齋)를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지내는
제사와 혼동하는 분들도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제사(祭祀)가 천지신명이나
조상의 넋에게 음식을 차려
정성을 드리는 것이라면,
불교의 재는 영가를 더 좋은곳으로
천도하기 위하여, 영가의 극락왕생을
기원하면서 공양을 받들어 올리는 의식입니다.
돌아가신지 49일 만에 지내는
천도재는 49재로 통용되고 있고,
그밖에 돌아가신 영가를 위해 재를 올리는
것은 천도재라고 통용되고 있습니다.
49재는 사람이 돌아가신 날로부터
7일마다 한번씩 재를 올려
영가의 다음 생, 새 출발을 열어주는
천도의식입니다.
마지막 일곱 번째 올리는 재를
49재, 혹은 막재, 7.7재라고도 합니다.
사람이 죽으면 생전에 지은 업에 따라
다음 생을 받아 납니다.
지극히 악한 자와 지극히 선한 자는
죽음과 동시에 다음 생을 받지만,
대부분의 보통사람들은 곧바로 생을
받는것이 아닙니다.
49일동안 중음신으로 떠돌다
가자기의 업에 따라 갈 길을 가는 것입니다.
그런데 이 기간동안 재를 지내드리는 것
자체가 영가에게 큰 공덕이 됩니다.
자손이 선업을 대신 지어주는 것이지요.
또한 이때는 영가가 생에 대한
애착을 끊고 갈길을 제대로 갈 수 있는 것입니다.
죽음의 세계는 따로 있지 않습니다.
과거 생에서 보면 현재 이곳이 내생이며,
내생의 입장에서 보면 현재 이곳이
전생이 될 수 있습니다.
관점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과거,현재,미래가 달라질 뿐입니다.
그러한 입장에서라도 선망부모, 역대조상을
천도해 줄 필요가 있습니다.
이미 천도된 사람들에게도 재를 올려드린 것이
하나의 힘으로 작용합니다.
또한 이세상에 다시 태어나 살아가고 있는
그 사람의 삶에 확실히 보탬을 줍니다.
공덕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후손을 잘 둔사람, 즉 조상을 잘 위하는
사람은 하는 일마다 잘되는 것입니다.
천도해 드리는 공덕과 복덕이 천도재를 지내는
그 사람에게 영향력을 미친다는
사실을 분명히 알아야 합니다.
사실 영가의 자성은 본래 이름도 없고,
자취도 없이 인연 따라 숨기도 하고
나타나기도 합니다.
이것이 영가의 참모습입니다.
업 따라 사람이 되기도 하고
사람의 모습에서 떠나기도 합니다.
따라서 천도재를 지낼 때,
영가께서는 꼭 재에 오셔서
지극정성으로 모시는 스님의 염불과
법문을 듣고 부디 천도되시기를 바란다고
계속해서 반복하여 부탁하는 것입니다.
이 진정한 뜻을 음미하면서 지극한 마음으로
천도재를 봉행 할 때 그 공덕은 이루 말할
수 없을 정도록 크다는 것을 직접 느끼시기
바랍니다.
(출처:무비스님의 49재 법문집 '일곱번의 작별인사'중)

간소화장례, 무빈소장례 등이
마치 현대식장례인것처럼
유행이되고 있는 현실이
과연, 고인을 위한
마지막 이별식과
이별의 여운이 점차
짧아져 가고 있는 것이
개인적으로 마음이 아파 옵니다.
100년도 채 되지 않는 삶을 살아가는
인간이지만,
어느 누군가의 가장으로,
가족으로,사회 구성원으로,
함께 살아갔던 사람의
마지막 이별에 대한
예우는 무엇일까요?
함께했던만큼,
고인을 향한 최고의 예우로
장엄하고 아름답게 보내드리며,
오랫동안 추억하고 기억할 수 있는
장례문화가 되었으면 합니다.
49재는 고인을 향한
49일간의 예우로
떠나간 고인을 위하며
사랑했던 우리의 마음을
추스릴 수 있는 최소한의
이별의 시간이 아닐까요?

BTN 불국토 상조
불국토 상조는 BTN불교TV가 불자님들을 위해 설립한 불교식 전문상조 서비스입니다.
www.btnlif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