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즘은 코로나19로 인해 마스크는 일상이었고, 사람을 만나는 것도 꺼리기 시작했어요. 특히 오미크론의 역습으로 인해 우리의 일상은 위드코로나로 인한 확산력을 비롯하여 대한민국 국민의 1/5는 코로나에 한 번 걸린 참이었어요. 요즘따라 심해지는 코로나의 증상 때문에 위중증 환자가 많이 늘었어요. 그래서 더더욱, 상조회사의 도움을 통해 장례를 진행하는 분들이 많았어요. 그래서 오늘은 서울성모병원장례식장에서 불교장례식으로 진행한 후기를 가져와봤어요.

긴급장례접수 번호인 1661-2353으로 전화가 걸려왔고 불교장례식으로 진행하고 싶다는 유족 분들의 연락으로 시작된 이번 장례였어요. 불교식으로 진행하는 장례는 불국토가 유일했기 때문에 블로그 내용을 보고 확인하셨던 것이 컸어요. 그래서 담당 의전 팀장님을 배정해드렸고, 장례일정과 상복을 입을 분들, 그리고 도우미의 투입 여부를 논의 했어요. 그 다음은 화장장까지 예약을 해드린 후, 서울성모병원장례식장에 직접 투입되기까지 시간은 약 2시간 정도 걸렸어요.


먼저, 서울성모병원장례식장 측에서 영정 꽃제단의 설치를 도왔고, 끝나자마자 제단의 양 옆으로 장엄번을 설치해 드렸어요. 장엄번은 인로왕보살번과 아미타불번을 설치해드렸어요. 고인의 영혼을 접인하여 극락정토로 인도하는 인로왕보살과 서방극락정토 세계에서 법을 설하는 아미타불의 도움으로 극락왕생으로 모심이었어요. 이렇게 장엄번이 설치를 한 후, 초배상을 차려 영정 앞에서 처음으로 조문을 드렸어요. 1일차 서울성모장례식장의 불교장례식의 일정을 잘 마무리 할 수 있었어요.

서울성모병원장례식장의 2일차 일정에서는 불교장례식에서 가장 중요한 일정인 입관, 참관, 성복례를 순서대로 진행했어요. 입관을 진행하기 전에 담당 의전 팀장이 먼저 설명을 다시 한 번 더 해드렸어요. 그리고 안치실에 계신 고인을 입관실로 옮겨 깨끗하게 닦아드렸어요. 이렇게 닦아드린 뒤 불경수의를 갈아 입혀드렸는데요. 불경수의는 고인의 죄업을 깨끗하게 하고 극락 갈 수 있게 돕는 의미를 담아 불국토만의 특허 받은 디자인이었어요. 특히 금강경이 새겨져 있는 수의였기 때문에 더 뜻깊었엉. 그리고 전국 지사망을 통해 시다림이 가능한 스님을 모셨어요. 스님의 시다림으로 장엄하게 고인을 극락왕생으로 보내드리기 위해 장엄한 염불을 외우면서 진행했어요.

원래 시다림은 누군가에게 곤욕을 치르거나 괴로움을 받는 것으로 했지만, 불교에서의 시다림은 뜻이 조금 달랐어요. 고인을 위한 염불과 축원, 또는 설법 하는 것을 뜻했어요. 이런 스님의 시다림 염불과 함께 유족과 같이 함께 하는 참관에서는 광명진언이 적힌 한지 메시지를 고깔로 접어 불경수의를 입은 위에 층층이 쌓아 올렸어요. 불교의 상징인 연꽃을 형상화한 구품 연화대렴은 다음 생에서도 무사히 다시 태어날 수 있는 연화화생의 의미를 담았어요. 광명진언이 고인의 몸에 닿으면 부처의 지혜를 믿는 사람이 연꽃 속에서 태어난다고 믿었기 때문이었어요. 이렇게 성복례까지 스님의 시다림을 진행하면 서울성모병원장례식작의 불교장례식 2일차 일정을 마무리 할 수 있었어요.

서울성모병원장례식장의 3일차 불교장례식의 일정에서는 고인의 마지막 길을 정리해드리며 정산까지 마무리 했어요. 장례식장의 음식이나 빈소 사용료에 대한 것들을 정산이 끝이 났다면, 발인을 지냈어요. 원래 발인은 관이나 구 앞에서 진행했지만, 요즘은 빈소에서도 진행하고 있었어요. 그리고 운구할 인원을 6~8명 정도 모집 후 차량에 무사히 태웠어요. 무사히 화장을 진행하고 장지에 도착하여 서울성모병원장례식장의 불교장례식을 마무리 할 수 있었어요.

서울 성모병원의 불교장례식은 어떠셨을까요? 불국토에서 진행하는 장례서비스는 부처님께 인도하는 불교식 장엄번과 스님의 시다림, 그리고 불경수의, 지장보살상 크리스탈 위패, 생화꽃관장식으로 진행하고 있었어요. 나이에 상관 없이 가입이 가능하며, 전화 한 통으로 임종에서 장지까지 가능했어요. 장례전문 지도사가 24시간 상주하고 있는 불국토에서 불교장례식으로 진행하는 건 어떨까요?